특징
- 작은 사이즈로 타사 담체에 비해 표면적이 넓음
- 담체 내부로의 유기물 및 산소 확산 용이
- 담체 내부 폐색 방지, 미생물의 부착번식이 용이
- 미생물 보유량 증가로 고부하 및 부하변동에 강함
- 설치면적이 적게 소요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함
|
BM-SK |
기존 담체 |
표면적 증가비 |
Size |
3 x 3 x 3 mm |
9 x 9 x 9 mm |
3배 |
충진물 |
포기조 용적대비 30~50% |
포기조 용적대비 10~30% |
1.6~5배 |
접촉면적 |
기존 담체보다 표면적이 약 5~15배 가량 넓어짐 |
BM-SK의 적용분야
- 유기폐수 처리 (식품, 제지, 석유정제, 전자산업 등)
- 기존 설비의 처리용량 증대 필요시
- 기존 설비(활성슬러지법) 개조 ▶ 처리효율 상승, 운전 개선
- 유기폐수 재이용 처리시
BM-SK의 구조
기능 |
생분해성 유기물 제거 |
적용범위 |
BOD 20~2,000mg/L (BOD 400mg/L 이상의 경우 Test 필요) |
처리 |
약 TOC < 10mg/L *원수성상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|
기타 |
계면활성제, 중금속, 유분 등 저해물질 유입시 전처리 필요 |

활성슬러지법과의 설치 비교
[ 유기폐수 - 1,000m3/day, BOD 100mg/L 유입 기준 비교 ]
항목 |
활성슬러지법 |
BM-SK |
Remark |
처리 BOD량 (kg/day) |
100 |
100 |
|
용적부하 (kg.BOD/m3/day) |
0.6~0.8 |
1.5~3.0 |
전자산업 (LCD관련) 폐수사례 |
포기조 용적 (m3) |
142 |
44 |
|
적용 용적 (m3) |
150 |
50 |
Space 1/3로 절감 |
포기조적용 Size (MxMxM) |
5 x 6 x 5 |
5 x 2 x 5 |
|
부지비용 (-) |
100 |
33 |
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상대치 |
|